본 포스팅은 사람들이 전입신고 안 하는 이유 3가지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와 관련해서 돈이 직결된 부분은 주택 청약, 내 집 마련이다. 해당 지역 거주 기간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위장전입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다룬다.
본 내용은 2023년 4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개요
전입신고를 안 하는 유형이 2가지 있는데, 하나는 내 집이 아니라서 애매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내 집 마련 또는 부동산 투자를 하는 경우다. 후자의 경우 규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확하게 마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사후 처리만 잘하면 문제없이 좋은 아파트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곧 시세 차익을 통한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전입신고 하나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안 하는 이유
1. 회사 기숙사
회사에서 주거용이 아니라 업무용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전입신고가 불가능하다. 투자 대상으로 생각하고 접근했을 수도 있고, 실제로 업무 때문에 매매한 것일 수도 있다. 어찌 되었든 공간이 비었으니 직원에게 일정 금액을 받거나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만약에 회사에 전입신고 하지 말라고 했는데 해버렸다면 회사가 뱉어내야 할 세금이 어마무시해진다. 본인은 낙인이 찍히는 것.
2. 기존 지역 정부 지원 혜택
어떤 사유에서든 기존에 살고 있는 지역을 벗어나서 타 지역으로 가게 되면 생계, 주거, 의료 등 정부나 지자체에서 주는 혜택에서 제외되거나 혜택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지자체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오래 산 사람들에게 더 많은 복지 혜택을 주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만약에 회사에서 전출을 가게 되는 경우에 가족과 떨어져서 다른 지역에 전입신고를 해서 사는 경우에는 주택 청약 관련해서 엄청난 손해를 보게 된다. 청약 당첨 조건이 그러하다.
3. 주택청약 당첨 확률
실제로는 본인이 늘 살던 곳 혹은 직장이 있는 곳에 살면서 다른 지역에 집을 구해서 전입신고를 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게 위장전입이다. 다른 지역이라고 하면 입지가 좋은 아파트가 곧 지어지는 곳을 말하는데, 청약을 넣어서 당첨되려고 하는 것이다. 특정 기간 동안 전매 제한이 있더라도 버티면 그만이기 때문에 나중에 시세차익을 위해서 얼마든지 기다릴 수 있다. 별다른 노력 없이 큰돈을 쥘 수 있는 기회라서 불법이더라도 많이들 한다. 국토부에서 주택법 위반으로 철저하게 조사한다고는 하는데 개인의 삶을 일일이 추적하는 게 쉽지 않다. 필자는 이걸 별로 추천하진 않는데, 개인의 선택 문제인 것 같다.
청약 당첨 확률 높이는 방법
청약에 대해서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분들은 전입신고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실거주에도 부족함이 없고 투자 대상으로도 적합한 아주 좋은 아파트를 선정했다면 운에 맡기지 말고 당첨 가능성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자세한 내용은 아파트 청약케어 이용 방법을 참고하기 바란다.
지금까지 사람들이 전입신고 안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청약 신청은 누구나 할 수 있는데, 더 중요한 것은 아파트 구매 자금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인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대출을 알아봐야 한다. 이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이것만 알면 90% 이상은 끝이다.
청약 당첨 후 대출 자금 조달 절차 3단계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사이트 대표 3가지
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