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신차 보험가입시기 2가지를 소개합니다. 자동차를 구매하는 과정에 익숙하지 않다 보니 보험에 언제 가입해야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언제 가입하면 되는지 자동차 관련 법령을 기초로 해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내용은 2022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자동차 보험 가입 이유

    자동차 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서 자동차를 운행하려면 자동차 보험에 무조건 가입을 해야 합니다. 자동차 보험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의무보험이라고 부르는 책임보험이 있고, 다른 하나는 임의보험이라고 부르는 종합보험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법적으로 의무 가입을 해야 되는 것은 책임보험입니다.

     

     

    책임보험 가입 안 하면?

    자동차를 구매하고 차량을 받은 즉시 바로 보험에 가입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시동을 걸지 않더라도, 시트에 앉아있지 않더라도 내 차로 인해서 누군가가 다치거나 사고가 났을 경우에는 무조건 피해보상을 해줘야 합니다. 그런데 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그 피해보상은 고스란히 본인 스스로 해결을 해야 합니다.

    자동차 책임보험 가입 안 하면 불이익 정리

     

    자동차보험 효력 발생 시점

    책임보험, 종합보험 상관없이 신차를 처음 구매한 경우에는 첫 보험료를 납부한 시점부터 효력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차량을 내 명의로 등록하는 날, 즉 신차를 받기 전에 보험사에 전화를 하거나 인터넷으로 미리 가입을 합니다. 신차가 출고되는 날짜에 맞춰서 보험료가 납부되도록 설정을 해두는 것이죠.

    차를 받자마자 바로 보험 효력이 발생하니까 당일에 사고가 나더라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신차 보험 가입시기 2가지

    1. 차량 인도받기 전

    가장 일반적인 가입시기입니다. 보험에 가입하려면 번호판 또는 차대번호가 있어야 하는데, 이 시기에는 번호판이 아직 나오지 않기 때문에 딜러에게 차대번호를 받아야 합니다. 출고 연락을 받게 되면 차대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차대번호란?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한 17자리로 구성된 차량 고유 식별번호

     

    차량을 인도받는 날이 정해질 때까지 충분한 공백기간이 있기 때문에 삼성화재 디렉트, DB손해보험 디렉트와 같은 보험사 홈페이지에 가서 책임보험에 가입을 해두면 됩니다. 보통은 책임보험만 가입하지 않고 종합보험까지 진행을 해서 보상범위를 늘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동차 책임보험 종합보험 차이 간단 정리

     

    2. 차량 인도 후 정식 번호판 달기 전 

    도로에 지나가다 보면 하얀색 번호판을 달고 있는 신차를 종종 봤을 겁니다. 이것은 임시번호판이라고 해서 정식 번호판을 달기 전에 차량 인도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사용할 수 있는 번호판입니다. 임시 번호판을 달게 되면 자동으로 책임보험에 가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고가 나더라도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임시 번호판도 딜러에게 제공받으면 됩니다.

     

    보통은 내 명의로 이전 등록하기 전까지는 현대나 기아와 같은 제조사 소유이기 때문에 차량이 마음에 안 들면 환불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임시번호판을 달고서 차량을 충분히 검증한 다음에 이전등록과 정식 번호판을 달고, 정상적으로 보험에 가입을 하면 그분은 자동차 거래 분야에서 고수인 겁니다.

     

     

    지금까지 신차 보험가입시기 2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자동차 보험을 현명하게 가입하는 방법은 보험료가 가장 저렴한 곳에서 가입하는 것입니다. 물론 삼성화재나 DB손해보험과 같이 고객 수가 많은 경우에 서비스 품질이 더 좋을 순 있겠지만 실제로는 보험사간의 보장내용이나 품질이 그렇게 차이 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무조건 보험료가 저렴한 것이 최고입니다.


    ▶ "자동차 보험 가입 관련 글" 더보기

    자동차보험 비교 사이트 이용방법
    내가 탄 만큼만 보험료를 내는 방법
    운전자 보험 필요성과 가입방법

    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