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티맵 운전 점수 올리기 팁 5가지 대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나는 KB손해보험 자동차보험을 이용하고 있다. 8가지 넘어가는 특약 중에서 가장 신경쓰고 있는 것이 바로 티맵 안전운전 할인 특약. 70점만 넘으면 12.3% 할인을 받을 수 있으니까 안하면 본인만 손해다.


티맵에서 점수 산정 방법을 설명하고는 있는데, 정확히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얼마나 점수가 차감되는지 알려주진 않는다. 나의 개인 경험을 공유할테니 참고하시길.

본 내용은 2024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개인 점수

    티맵을 통해서 누적 1,000km 이상 주행한 기록이 있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서 최근 6개월 내에 500km 이상 주행한 기록도 있어야 한다.


    주행거리 조건을 충족한 상태에서 안전운전점수가 65점 이상이 되면 지금 가입되어있는 보험 또는 다음에 갱신할 보험에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다.


    나 같은 경우에는 출퇴근에만 운전을 하고 매일 50km 이상 달리고 있다.


    서울지역이라서 급감, 급가속 할 일이 별로 없고, 중간에 과속 카메라가 많은 환경이다.


    나 스스로도 방어 운전을 하는 습관이 들여져있고, 운전하는 사람 중에서 나만큼 안전 운전하는 사람이 드물다고 할 정도로 자부심이 있다. 주변에서 내 차를 타면 잠이 솔솔온다고 할 정도.


    티맵에 저장되어있는 월별 기록을 쭉 살펴보면 100점이 대부분이고, 나머지는 98점 또는 96점이다.


    96점이 나왔을 때 원인을 보니까 과속 횟수가 2회. 급감속, 급가속을 단 한번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높은 점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 같다.


    과속, 급가속, 급감속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과속 : 규정속도에서 15km/h 이상 초과 주행한 거리
    • 급가속 : 속도가 1초 이내에 10km/h이상 증가하는 경우
    • 급감속 : 속도가 1초 이내에 10km/h이상 감소하는 경우

     

     

    점수 올리기 팁

    1.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

    내비게이션에서 파란색 동그라미 표기를 띄우면서 과속하지 말라고 안내를 해주는데 이게 바로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이다.


    결론부터 얘기해서 이동식은 카메라가 없을 확률이 엄청 높다. 그래서 사람들이 무시하고 패달을 밟게 되는데, 티맵에서는 점수를 얻기 어렵다.


    카메라가 없다고 무시하지 말자. 이동식 카메라는 측정 거리가 100m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해당 구간을 지나갈 때 안전점수를 위해서 참을성이 필요하다.


    다만, 내 점수를 보면 알겠지만 과속 위반은 점수에 큰 영향을 주는게 아닌 듯하다.


    티맵에서 설명한 예시를 보더라도 급감속을 조심해야 한다는 걸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2. 주행거리 확인

    500km 단위로 책정된 운전점수가 특약 할인에 반영이 된다. 주행거리가 500km 이하면 똑같은 위반 횟수를 하더라도 점수가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서 똑같이 급감속 3회를 했을 때. 주행거리 500km에서는 90점대를 받게되고, 250km에서는 70점대를 받게 된다.


    그러니까 평소에 주행거리가 짧으신 분들은 애초에 점수가 차감될 항목들을 하면 안된다.


    추가로, 500km를 달성하고 난 후 새로운 주행거리 기록이 생성되는데, 이게 너무 짧으면 점수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니까 특약 할인 받으려고 할 때 기록 제출 시기에는 500km보다 살짝 모자랄 정도의 운행한 기록을 제출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서 최근 6개월동안 500km + 500km + 450km으로 달렸고 높은 점수를 유지했다면 거의 100% 할인 받게 될 것이다.

    3. 고속버스 타기

    목적지 찍고서 도착만 하면 점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꼭 본인 차량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가장 편한 방법이 고속버스 타는 것.


    고속버스와 같은 맥락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그 외 방법들은 본인이 머리 굴려서 찾아보기 바란다.


    핵심은 정속으로 달리는 것인데, 어떤 분들은 정속으로 달릴 구간에서만 티맵을 켠다고 한다. 실제로 이걸 내가 해보니까 운전 중에 스마트폰 본다고 사고날 확률이 더 클 것 같더라. 이건 알아서 판단하시길.

    4. 초기화

    애초에 점수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티맵 점수를 초기화해서 점수를 다시 쌓는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점수 자체를 초기화하는 방법이 따로 존재하는게 아니고, 티맵 계정을 탈퇴하고 새로 다시 가입하는 것이다.


    티맵 계정은 통신사 T월드 계정하고 통합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동되어있다면 이걸 끊어버리고 탈퇴하길 바란다.


    티맵 운전 점수는 실명으로 인증된 계정에 한해서 책정되기 때문에 탈퇴 자체가 중요한게 아니고 실명 인증이 중요하다.


    티맵 아이디는 2개 이상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 만들어놓고 대비하는 것이 편할 듯.

    5. 점수 조작 GPS

    커뮤니티에서 공유된 방법인데, 폰 2개 혹은 폰과 태블릿 세트 이런식으로 동일한 계정으로 접속해서 점수를 2배로 뻥튀기 하는 방법이다.


    나도 이게 진짜 가능할까 싶어서 해봤는데 가능해서 깜짝놀랬다.


    동승자가 옆에 같이 있다면 동승자 폰에서 티맵을 열고 본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된다.


    주의해야될 건 좋은 점수가 2배로 뻥튀기 되는 대신에 반대로 점수 차감도 2배로 깎인다는 것.


    로그인할 때 2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는데, 해당 방법을 이용하려면 전화번호 아니라 T아이디로 시작해야된다.

    주의사항

    티맵에 보면 안전운전모드라는게 있다.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건데, 이름이 비슷해서 착각할 수 있지만 이걸 켜고 운전하면 점수가 안올라간다.


    이 외에도 터널주행, 기타 GPS 안잡히는 운행은 반영이 안된다.


    티맵 운전 점수는 GPS를 기반으로 차감 요인을 책정하기 때문에 신호가 없으면 운전자가 안전 운행을 하는지 안하는지 전혀 알 수 없다.


    이 말을 반대로 얘기하면, 내 차량을 다른 사람이 운전해도 상관없다는 말과 같다. 그래서 내가 티맵을 켠 상태로 버스를 타도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티맵 운전 점수 올리기 팁 5가지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동차 보험 갱신 기간 (만기일, 과태료)

     

    자동차보험 비교 사이트 이용방법
    내가 탄 만큼만 보험료를 내는 방법
    운전자 보험 필요성과 가입방법
    자동차 보험 부부한정 특약 가입 가이드
    자동차보험 소득공제 세액공제 적용 여부

    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